알츠하이머 치매 소개
알츠하이머 치매(알츠하이머병)는 기억, 사고, 행동을 점진적으로 손상시켜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신경퇴행성 질환이다.
치매의 60~80%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원인으로,
미국의 국립노화연구소는 65세 이상 600만 명 이상의 미국인이 이 병을 앓고 있다고 보고하며,
미국에서 일곱 번째 주요 사망 원인으로 꼽는다.
국내 역학 연구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의 전체 치매 유병률이 6.3-13%였고,
이 중에서 알츠하이머병 유병률은 4.2-5.7%에 달했다.
원인을 이해하는 것은 예방 전략과 치료법 개발에 필수적이다.
원인과 위험 요인의 상세 분석
알츠하이머 치매의 원인은 복잡하며,
나이 관련 변화, 유전적 소인, 수정 가능한 건강 및 생활 방식 요인이 결합한다.
아래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나눠 살펴보자.
1. 나이: 주요 위험 요인
나이는 알츠하이머 치매의 가장 큰 위험 요인으로, 65세 이후 대부분 발병한다.
미국 국립노화연구소는 65세 이전 발병이 10% 미만이며, 그 이후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고 보고한다.
구체적인 통계는 다음과 같다:
- 65~84세에서는 13명 중 1명이 알츠하이머병을 앓는다.
- 85세 이상에서는 3명 중 1명으로 증가한다.
나이 관련 뇌 변화는 다음과 같은 위험을 높인다:
- 기억과 인지 관련 뇌 영역의 위축.
- 뇌세포를 손상시킬 수 있는 염증.
- 혈관 손상으로 뇌로 가는 혈류와 산소 감소.
- 뉴런 기능을 저하시키는 세포 내 에너지 생산 감소.
이러한 변화는 뉴런과 다른 뇌세포를 손상시켜 알츠하이머병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, 정확한 기전은 아직 연구 중이다.
2. 유전: 유전적 위험과 드문 돌연변이
유전은 중요한 역할을 하며,
대부분의 경우 단일 유전자가 아니라 유전, 생활 방식, 환경 요인의 조합으로 발생한다.
미국 국립노화연구소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:
- 가족력: 부모나 형제자매가 알츠하이머를 앓았다면 위험이 증가한다. 이는 유전적, 환경적 요인이 공유된 결과로 보인다.
- APOE 유전자: 아포지단백 E(APOE) 유전자는 여러 변이가 있으며, ε4 변이가 가장 강력한 유전적 위험 요인이다.
ε4 변이를 한 개 가진 사람은 위험이 증가하며, 두 개 가진 사람은 더 높은 위험과 더 이른 발병 가능성이 있다.
하지만 모든 보유자가 병에 걸리는 건 아니다. - 드문 유전 돌연변이: 소수의 경우, 특정 유전자의 드문 돌연변이는 65세 이전 조기 발병 알츠하이머를 일으킨다.
- 포함되는 유전자는:
APP 유전자(21번 염색체): 아밀로이드 단백질 생성에 관여.
PSEN1 유전자(14번 염색체):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처리에 영향.
PSEN2 유전자(1번 염색체): 역시 아밀로이드 처리와 관련. 부모로부터 유전될 경우(50% 확률), 이 돌연변이는 40~50대 발병을 강하게 예측한다. - 또한, 다운증후군 환자는 21번 염색체(APP 유전자 포함) 추가 복사로 인해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.
미국 국립노화연구소는 50% 이상이 50~60대에 알츠하이머를 앓는다고 밝힌다.
- 포함되는 유전자는:
3. 건강과 생활 방식: 우리가 바꿀 수 있는 것들
나이와 유전 외에도 여러 건강 상태와 생활 방식 선택이 알츠하이머 위험에 영향을 미친다.
클리블랜드 클리닉과 NHS(국민보건서비스)는 다음을 강조한다:
- 혈관 및 대사 질환: 심장병, 뇌졸중, 고혈압, 당뇨병, 비만은 위험을 높인다.
이들은 뇌 혈관에 영향을 미쳐 산소와 영양 공급을 줄여 신경퇴행을 촉진할 수 있다. - 수정 가능한 위험 요인: 이러한 상태를 관리하고 건강한 생활 방식을 채택하면 위험이 낮아질 수 있지만,
완전한 예방은 아직 입증되지 않았다.- 구체적인 요인은:
고혈압이나 청력 손실 같은 관리되지 않은 만성 질환.
뇌 혈류를 줄이는 신체 활동 부족.
과일, 채소, 통곡물이 부족한 식단.
뇌세포를 손상시킬 수 있는 알코올 과다 섭취.
혈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흡연.
뇌 해독 과정을 방해하는 수면 부족.
인지 저하와 관련된 사회적 고립.
인지 예비력을 줄이는 정신적 자극 부족. - 단, 국립노화연구소는 이러한 위험 감소가 전반적인 건강에 유익하지만,
실제적인 알츠하이머 예방 효과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.
- 구체적인 요인은:
생물학적 기전
메이요 클리닉에 따르면, 알츠하이머 치매의 핵심병리는 뇌의 비정상 단백질 축적을 포함한다.
- 아밀로이드 플라크: 뇌세포 외부에 형성된 아밀로이드 단백질 침착물로, 세포 간 통신을 방해한다.
- 타우 엉킴: 뇌세포 내부에서 타우 단백질이 엉켜 세포 기능을 망가뜨리고 죽음에 이르게 한다.
이러한 변화는 증상이 나타나기 수년 전 시작되며,
뇌 위축과 아세틸콜린 같은 신경전달물질 감소로 기억과 인지에 영향을 미친다.
축적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불분명하다.
연구와 미래 방향
알츠하이머 치매의 원인은 아직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다.
진행 중인 연구들은 다음에 초점을 맞춘다:
- 나이 관련 변화, 유전, 생활 방식의 상호작용 이해.
- 아밀로이드와 타우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법 개발, 임상 시험 중인 신약 포함.
- 위험 요인을 줄이는 것이 발병을 지연하거나 예방할 수 있는지 탐구.
결론
알츠하이머 치매는
나이(주요 위험 요인), 유전(APOE 및 드문 돌연변이 포함), 건강과 생활 방식(수정 가능한 요인 다수) 요인이 결합된
복합적 질환이다.
나이나 유전은 바꿀 수 없지만,
활동 유지, 건강한 식단, 만성 질환 관리, 사회적·정신적 참여는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.
'멘탈 > 정신건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알츠하이머 치매의 증상과 경과 (신경인지장애 질병탐구) (0) | 2025.04.12 |
---|